4년차 직장인 유**씨는 며칠전 원형탈모로 병원 치료를 받고 있다. 9년 전 원형탈모가 갑작스럽게 시행됐는데, 스트레스를 받을 때마다 만성적으로 재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씨는 '탈모를 한 번 겪어보니 식습관부터 케어 제품까지 관리에 신경이 쓰인다'고 이야기 했다.
20~30대가 국내 탈모시장 `큰 손`으로 떠증가했다. 과거 유전적 원인보다 임신과 출산, 염색, 스트레스 등 외부 환경적 요인으로 탈모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노인들이 불어났기 때문이다. 탈모 방지 샴푸부터 영양제, 치료기까지 관련 시장도 커지는 추세다.
25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말에 따르면 2014년 국내 탈모 환자 수는 26만3628명으로 2015년(60만8534명)대비 14% 상승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3.1%로 1위를 차지했고 이어 20대(20.8%)다. 같은 시간 탈모 치료에 쓰인 총 진료비도 197억원에서 303억원으로 58% 늘어났다.
국내 잠재적 탈모 인구는 약 3000만명으로 추정된다. 특이하게 `영(Young) 탈모` 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고 있다. 헬스앤뷰티(H&B) 스토어 올리**의 말을 인용하면 전년 20~30대의 탈모 케어 헤어용품 수입은 작년대비 74% 급증했다. 이는 전체 신장률(60%)을 훌쩍 뛰어넘은 수치다. 올리** 관계자는 '과거 유전적 요인에 따라 숙명으로 치부되던 탈모가 며칠전에는 외부 환경적 요인에 따라 증상 완화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20~30세대를 중심으로 두피를 최우선적으로 케어하고, 탈모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수요가 불어났다'고 이야기 했다.
가전업계도 두피 케어 제품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얼굴 피부와 목주름뿐 아니라 탈모 증상 완화를 위해 소비를 아끼지 않는 성향에 이목한 것이다. LG** 는 탈모 치료용 의료기기를 론칭했다. 헬멧 모양의 이 물건의 온라인상 가격은 600만원 안팎이다.
국내 탈모인구가 늘면서 이를 악용한 과장 마케팅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구매자원이 발표한 `탈모 관련 제품 및 서비스 문제점 개선방안` 보고서의 말을 인용하면 탈모 방지 샴푸는 약사법상 `탈모 방지`와 `모발의 굵기 증가` 이외에 다른 광고 문구를 쓸 수 없다.
다만 일부 중소업체들이 탈모 방지 샴푸를 판매하면서 `탈모 치료`나 `발모 효과` 등의 문구를 내걸어 구매자들의 혼란이 가중된다는 지적이다. 일반 두피관리업소에서 처방을 권유하면서 `일정기간 사용 후 불만족시 100% 환불 보장` 등을 광고해 분쟁을 겪는 경우도 접수됐다.
한국소비자원은 '탈모 관련 물건과 서비스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소비자피해도 일괄되게 접수되고 있다'며 '의료기관이 아닌 일반 두피관리업소에서 사용 전후 사진 비교 등 타다라필 직구 법규 위반의 소지가 있는 광고표현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밝혔다.